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퇴직연금 DB형 vs DC형! 전환을 고민하는 직장인들에게

by 부릉릉 2025. 3. 21.
반응형

 

퇴직연금 썸네일

 

회사에 근속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쌓이는 퇴직금.

재테크에 관심이 생겨 연금을 굴리려고 생각할 때, 퇴직연금이 생각이 날텐데요.

보통은 DC형만 있거나, DB/DC 둘 다 있으면 DB형이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겁니다. 

이는 회사마다 다른데, DB형과 DC형의 차이를 쉽게 알려드릴게요.

 

먼저, 둘 중에 고를 수 있다면 웬만하면 DB형이 좋다는 점 말씀드리고 시작합니다~

 

🧐 DB형 (확정급여형) – "그냥 가만히 있으면 회사가 알아서 줄게!"

DB형은 'Defined Benefit', 즉 "확정급여형"입니다.

이 말은 회사가 여러분의 퇴직금을 미리 정해놓고, 여러분이 은퇴하면 약속한 만큼의 돈을 꼭 지급해 준다는 뜻이죠.

쉽게 비유하면 회사가 '노후 월급'을 책임져 주는 거예요. 회사에 다니는 동안 신경 쓸 것 없이, 퇴직할 때 알아서 지급해 줍니다.

 

- DB형 퇴직연금 수령액 계산법 -

근속연수 x 퇴직 시 월평균 임금

ex) 20년 근속, 평균 급여 500만 원인 사람의 퇴직연금 총액은?

20 * 5,000,000 = 100,000,000(1억)

 

😎 DC형 (확정기여형) – "난 투자의 신, 내가 알아서 할게!"

반면 DC형은 'Defined Contribution', 즉 "확정기여형"이에요.

회사가 매년 개인 퇴직계좌에 정해진 금액을 넣어주고, 그 돈을 직접 투자해서 불리는 방식이죠.

쉽게 말하면 회사는 용돈만 주고, 직접 돈을 불려야 하는 거죠.

잘 투자하면 큰돈을 벌 수도 있지만, 투자 실패하면... 피눈물이 나겠죠? 😅

 

- DC형 퇴직연금 수령액 계산법 -

매년 연봉의 약 8.3%(연봉의 1/12)를 계좌에 넣어줌

계산법은 따로 존재하지 않고 개인의 투자 수익률에 달렸다.

 

 

왜 DB형이 더 좋은가?

최소 10년, 최대 2~30년이라는 긴 시간을 봤을 때,

매년 수익률을 높게 기록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2020년 3월 이후 주식을 시작한 신규 투자자 중 약 60%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고도 있는데요,

DC형이 DB형 보다 좋기 위해서는 긴 시간 동안 꾸준히 양의 복리를 이뤄야 합니다. 

직접 시뮬레이션 해본 예시를 같이 보시죠!

 

- 30년 근속 -

- 초봉 3,000만 원 -

 - 연평균 임금 상승률 4% -

- 투자 수익률 6% -

 

DB, DC 최종금액

 

위의 예시로 봤을 때, DB형이 가만히 있는 것과 DC형이 연 6%로 열심히 굴린 것이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걸 보면

- 어느 회사가 연봉을 평생 매년 4% 올려줌?

- S&P500 최근 30년 수익률이 8.8%인데 ㅋㅋㅋ 침팬지도 저거보단 높을듯

과 같은 반응이 예상되는데...

 

중요한 건 리스크를 짊어질 정도의 가치가 있냐?라는 것입니다.

- 내가 퇴직할 때 경기침체 또는 하락장이 아닐 가능성

- 5년, 10년, 15년 짧게 일하고 퇴직할 가능성 (복리 효과 저하)

- 주변을 보면 연평균 수익률 5~6%는 커녕 손실인 사람이 훨씬 많을 것

- 장기간 매수, 매도에 신경 쓰는 정신적, 육체적 비용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하고, '안정적인 목돈을 준다'는 연금의 성격을 고려해 봤을 때

내가 이것까지 직접 굴려야 되나?라는 생각을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정말 자신 있고 투자의 귀재라면 DC로 전환을 고려해도 좋지만 그 투자는

매월 받는 월급으로 해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더 낮은 임금 상승률이라고 해도, 연평균 최소 4~5% 이상은 투자 수익을 내야

가만히 있는 DB형과 같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안정적인 측면에서 뒷배 같은 느낌으로 푸근하게 가져가는 DB형이

훨씬 좋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질문이 있다면 편하게 물어봐 주세요!

모든 직장인 분들의 성투를 기원합니다 🙏

반응형